퇴계의 건강비방과 활인심방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25 00:50
본문
Download : 퇴계의 건강비방과 활인심방.hwp
퇴계의 문인중에는 박운 외에 당대 정치가로 명성을 떨친 유성룡 (호 서애, 대제학·좌의정·영의정 역임)이 의술을 연구하여 {침경요결}, {의학변...
설명
순서
,인문사회,레포트
퇴계의 문인중에는 박운 외에 당대 정치가로 명성을 떨친 유성룡 (호 서애, 대제학·좌의정·영의정 역임)이 의술을 연구하여 {침경요결}, {의학변... , 퇴계의 건강비방과 활인심방인문사회레포트 ,






레포트/인문사회
Download : 퇴계의 건강비방과 활인심방.hwp( 42 )
퇴계의 건강비방과 활인심방
퇴계의 문인중에는 박운 외에 당대 정치가로 명성을 떨친 유성룡 (호 서애, 대제학·좌의정·영의정 역임)이 의술을 연구하여 {침경요결}, {의학변증지남} 등 의서를 찬한 바 있고, {의안집방}을 찬한 정구 (호 : 한강)등이 있지만 선생의 친필 수적인 이 활인심방 필사본이 퇴계의 중년기 이전의 필치라는 고증이 있는 터이고 보면 앞서의 박영이 직접 전하였거나 문인 박운이 청하여 전수했을 것으로 믿어진다.
서에 상세한 각주를 달고 [결]과 [도]로 나누어 설명(explanation)하고 있는 도인법은 [쌍수격천고], [수악천주], [설교상악], [수마신당], [단탁천안항], [쌍관록■], [탁천안항], [구반각심] 등 여덟 가지 좌정운동 그림을 그려 넣어 일상생활 중 정좌운동을 할 수 있게 했다.
이 활인심방의 중요내용을 살펴보면 서문에서 수양법은 태을씨에서, 약이설은 유소씨에서, 도인술은 음강씨에서, 의약문은 헌원, 기백씨에서 이미 비롯되었음을 紹介(소개)하고, 뒤이어 노자의 [심위신주, 동정종심]의 일절을 인용하여 활심과 수양은 발병전에 다스리는 치료법이요, 약이와 의약방은 발병 뒤에 다스리는 치료법이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, 의·선 이가의 제설을 서술하여 스스로 일가의 신화를 이룩하는 한편 [활인심]이란 명제는 백병의 발생을 오로지 마음의 영정과 치산에 달렸음을 밝히고 있다
그리고 본론에서는 ① 중화탕과 화기환 등 약방문을 비롯하여 ② 양생지법 ③ 도인법 ④ 거병정수육자결 ⑤ 사계양생가 ⑥ 보양정신 등 6종으로 구분하고 있다
이 중 유가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비방은 역대 유·선 제가의 양생에 관한 고사를 이용하고 현주도인의 치심법theory(이론)을 적용한 양생지법이며 다음에는 현대의 [요가]와 유사한 도인법이다.
[요가](YOGA)가 인도에서 착안된 수양법인데 비하여 고대china에서 전해져 오는 보신술인 도인법은 도가사상의 이입과 동양의술의 도입으로 오래 전에 紹介(소개)되긴 했으나 활인심방이 들어오면서 상세한 기법이 보급되어 유가에서 널리 활용되었으며 {의방유취}, {동의보감}, {수양총서} 등의…(drop)
다.